가난과 어머니
대학을 졸업 후 일자리를 구할 수 없었다. 필기시험엔 합격했지만 면접에서 번번이 떨어졌다. 몇 번의 실패 끝에 학생운동 전력 때문이란 걸 깨달았다.
절망에 빠져있던 중 신문 한 귀퉁이에 작은 광고를 발견했다. ‘해외 건설 현장에 나갈 역군 모집’이라는 내용의 현대건설 광고였다. 당시 현대건설은 직원이 100명도 되지 않는 중소기업이었다.
국내 기업에 취업할 수 없게 된 이명박에게 해외 건설현장은 새로운 희망으로 다가왔다. 혹시 정부가 알까 두려워 지인에게 부탁해 남모르게 원서를 냈다.
필기시험에 합격하고 면접을 보는 날 정주영 사장의 ‘건설이 무엇이냐고 생각하냐?’고 물었다. 얼떨결에 ‘건설은 창조입니다.’라고 대답했다.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것이 건설이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기 때문이다.
정주영 사장은 이 말이 마음에 들었는지 이후 공개석상에서 자주 쓰곤 했다.
면접 분위기는 좋았다. 그러나 결과는 불합격이었다. 현대건설 인사과에 있는 지인을 통해 알아보니 예상대로 학생운동 전력 때문이라고 했다. 사정을 들은 둘째 형 이상득은 자신이 가정교사로 있던 국영기업체 사장의 신원 보증서를 받아 주었다. 그러나 큰 힘이 될 것 같지는 않았다.
고민 끝에 이명박은 편지를 한 통 썼다. 수신인은 ‘대통령 박정희’였다. 편지에서 학생운동의 순수성과 충정을 토로한 뒤, 사회의 진출을 막는 당국의 처사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며칠 후 청와대에서 연락이 왔다.
민정 담당 비서관 이낙선씨를 만나자 ‘국가체제에 도전한 자가 불이익을 당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그러자 이명박은 ‘한 개인이 자신의 힘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길을 국가가 막는다면, 국가는 그 개인에게 영원한 빚을 지는 것’이라고 항변했다.
이낙선씨를 만나고 며칠 후 현대건설로부터 합격 통지를 받을 수 있었다. 후일 정주영은 “청와대에 들어갔더니 박정희 대통령께서 ‘이명박이라고 있지요. 아주 고약한 녀석인데 정치권에 기웃거릴 줄 알았는데 현대로 갔더군. 인간 좀 만들어 보세요’라는 얘기를 해주었다”고 회고했다.
입사 후 이명박은 경남 진해 공사현장에서 잠시 근무한 후, 태국 파다니 나라티왓 고속도로 건설현장에 경리로 파견됐다. 나라티왓 고속도로는 한국 건설사상 최초의 해외공사로 일개 중소기업이었던 현대가 대기업도 하지 못한 일을 해 낸 것이다.
그러나 아무런 경험 축적도 없이 의욕만 갖고 달려든 공사였기에 계획대로 진척되지 않았다. 첫 1년 동안 예정된 공사비의 70%를 쏟아 붓고도 공사는 겨우 30%밖에 진척되지 않았다.
위기는 결국 한국인 근로자들의 폭동으로 번졌다. 폭동이 일어나자 회사 간부들과 현장직원들은 모두 폭도를 피해 달아났다. 폭도들은 현장 사무실로 몰려들었고, 말단 경리사원인 이명박 혼자 사무실에 남아 금고를 지키며 폭도와 맞섰다.
대검으로 위협 받고 각목으로 폭행당하면서도 금고를 얼싸안고 엎드려 버텼다. 한참을 폭행당한 끝에 경찰에 의해 구조됐고, 이 일이 서울 본사에 알려지면서 말단사원의 무용담은 신화로 증폭됐다.
폭동이 진압된 후에도 태국공사는 적자는 누적되어 회사의 존립마저 위협할 상황이었다. 그러나 최초의 해외공사라는 데서 비롯된 들뜬 분위기로 현대건설은 현실을 냉정하게 직시하지 못했다.
말단 경리직원이었던 이명박은 현장의 자료를 총동원하여 나라티왓 고속도로 공사가 심각한 적자를 내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보고서를 받은 정주영은 현장으로 급히 달려왔다.
정주영은 현장에 부정이 있다고 생각했다. 부장과 과장, 그리고 말단 경리인 이명박을 심문하는 과정에서 보고체계의 문제점 등이 밝혀졌다. 그 일로 이명박은 대리로 승진하고 현장 책임자가 됐다.
입사한지 2년도 채 안된 시기의 빠른 승진이었지만, 이 때의 첫 승진은 앞으로 있을 초고속승진의 시작에 불과했다.